background

암행어사

320x100


통제사 유진항은 젊었을 때 선전관이어서 대궐에서 숙직했다.

그 해는 1762년 영조 대왕 때로 금주령이 내려 엄하게 지켜지던 때였다.

어느날 한밤 중에 임금님이 갑자기 숙직 중인 선전관은 궁으로 들어오라는 명을 내리셨다.



마침 숙직 중이던 유진항이 명령을 받들어 궁으로 들어가니 임금님이 긴 검 하나를 주시며 말씀하셨다.

[내가 소문을 들었더니 아직도 백성들이 몰래 술을 빚어 먹는다더구나. 너는 이 검을 가지고 가서 3일 내로 술을 빚는 사람을 잡아들이도록 하거라. 만약 술 빚는 사람을 잡아오지 못하면 네 목을 벨 것이다.]

유진항은 명령을 받들어 집으로 돌아왔다.



집에 돌아온 유진항은 소매로 얼굴을 가리고 누웠다.

그러자 애첩이 물었다.

[어째서 이렇게 기운이 없고 힘들어하시는가요?]



[내가 술 마시는 걸 좋아하는 건 임자도 알 것이네. 그런데 술을 못 마신지 너무 오래되다 보니 목이 말라 죽겠구만.]

[날이 저물면 술을 구할 수 있으니 조금만 기다리셔요.]

밤이 되자 첩이 말했다.



[제가 술이 있는 집을 알고 있는데, 제가 직접 가지 않으면 살 수가 없어요.]

그녀는 술병을 들고 쓰개치마로 얼굴을 가린 채 집을 나섰다.

유진항은 몰래 첩의 뒤를 따라갔는데, 첩은 동촌의 한 초가집으로 들어가 술을 사오고 있었다.



유진항이 이 술을 맛있게 마시고 다시 사오라고 시키자 첩은 또 그 집에 가서 술을 사 왔다.

유진항이 이번에는 직접 술병을 들고 일어났다.

그러나 첩이 이상하게 여기고 이유를 물었다.



그러자 유진항이 대답했다.

[이 근처에 사는 아무개가 내 술 친구인데, 이렇게 귀중한 술을 얻었으니 어떻게 혼자만 마실 수 있겠나? 가서 친구와 함께 마시고 오겠네.]

유진항은 집을 나서 술을 팔던 동촌의 집으로 찾아갔다.



그 집에 들어서니 몇 칸 되지 않는 누추한 집이어서 비바람도 가리기 힘들 지경이었다.

집 안에는 한 선비가 등잔불을 켜고 책을 읽고 있다가, 유진항을 보고 이상하게 생각해 일어나 맞이했다.

[손님께서는 이런 깊은 밤에 무슨 일로 이런 누추한 집에 오셨습니까?]



유진항이 자리에 앉으며 말했다.

[나는 임금님의 명을 받들어 왔소이다.]

그러면서 유진항은 허리에 차고 온 술병을 내놓으며 말했다.



[이 술은 이 집에서 판 것이 맞겠지요? 임금님께서 엄히 명하시어 모든 백성에게 술을 금하였는데 어찌 그대는 술을 파는 것이오? 그대의 혐의가 모두 드러났으니 나를 따라가 그 벌을 받아야겠소.]

선비가 한 시간 동안 아무 말 없이 있다가 말했다.

[법으로 임금님께서 금한 것을 어겼으니 어찌 용서를 빌겠습니까? 하지만 집에 늙은 어머니가 계시니 부디 하직 인사 한마디라도 하고 궁으로 가게 해 주십시오.]



유진항이 말했다.

[그러도록 하시오.]

선비가 안쪽 방으로 들어가서 낮은 목소리로 어머니를 부르니 어머니가 놀라서 물었다.



[얘야, 왜 아직 자지 않고 어미를 부르느냐?]

선비가 대답했다.

[전에 제가 어머님께 사대부는 비록 굶어 죽더라도 법을 어겨서는 안된다고 말씀드렸는데, 어머니께서는 끝내 제 말을 들어주지 않으셨습니다. 이제 못난 아들이 붙잡혀 가니 다시 뵙지 못할 것 같습니다.]



늙은 어머니가 큰 소리로 울며 말했다.

[세상에 이게 무슨 일이냐? 내가 몰래 술을 빚은 게 돈을 벌려고 한 게 아니라 너에게 아침에 죽이라도 먹이려고 했던 것인데... 이렇게 된 게 모두 이 못난 어미 탓이니 이를 어찌한단 말이냐!]

그 사이 부엌에 있던 선비의 아내도 이 이야기를 듣고 가슴을 치며 큰 소리로 울기 시작했다.



그러자 선비가 차분하게 아내에게 말했다.

[일이 이미 이 지경에 왔는데 울어서 무슨 소용이 있겠소? 내게 아들이 없으니, 내가 죽더라도 부디 어머님을 잘 보살펴주시오. 그리고 옆 동네에 아무개에게 아들 몇 명이 있으니, 내 사정을 이야기하고 그 중 한 명을 양자로 삼아 편안히 살도록 하시오.]

선비가 아내에게 부탁을 하고 집 밖으로 나왔다.



유진항이 가만히 옆에서 그 모습을 보니 너무 불쌍해서 마음이 아팠다.

유진항이 선비에게 물었다.

[어머님의 연세가 어떻게 되시나?]



[70살이 넘으셨습니다.]

[아들은 있는가?]

[없습니다.]



유진항이 말했다.

[이런 광경을 차마 보고 있을 수가 없구려. 나는 아들도 둘이나 있고 부모님을 모시는 것도 아니니, 차라리 당신 대신 내가 죽겠소. 그대는 마음을 놓고 술병을 모두 가지고 나오시오.]

아내가 술병을 내오자 유진항은 선비가 술을 한 잔 하고는 술병을 깨트려 집 뜰에 묻고 말했다.



[늙으신 어머님이 계시는데 집안 꼴이 말이 아니구려. 내가 이 검을 줄테니 이것을 팔아 어머님을 잘 모시구려.]

유진항은 차고 있던 검을 주고 그 곳을 떠났다.

선비가 따라오며 한사코 자신이 죽으러 가겠다고 외쳤으나 유진항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달렸다.



선비가 지쳐서 물었다.

[성함이 어떻게 되십니까? 부디 은인의 성함만이라도 알려 주십시오.]

[나는 선전관이오. 이름은 알아서 어디에 쓰겠소?]



말을 마치고 유진항은 멀리 떠났다.

다음날은 임금님이 말한 사흘째 되는 날이었다.

대궐에 들어가니 임금님이 물으셨다.



[너는 술 빚는 사람을 잡아왔느냐?]

[잡아오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임금님이 화가 머리 끝까지 나서 소리치셨다.



[그런데 감히 네 놈이 아직도 머리를 목에 붙인 채 내 앞에 나타났느냐!]

유진항은 땅에 엎드려 아무 말도 못했다.

한참 뒤에야 화를 가라앉히신 임금님은 유진항을 평소보다 3배 멀리 돌아서 제주도에 유배하도록 명하셨다.



유진항은 유배를 간 지 몇 년뒤에야 비로소 풀려났고, 10여년 동안 가난하게 살다가 복직되어 경상북도 합천군 초계 사또가 되었다.

그런데 유진항이 가난히 살았던 탓에 원한이 사무쳤는지 그 마을에서 오로지 자신 혼자 잘 사는 것에만 신경을 썼다.

백성들은 모두 근심하며 매일 사또의 욕을 했다.



그러다 마침 그 주변을 돌아다니던 암행어사가 출도해서 창고를 봉하고 관가로 들어섰다.

어사는 이방과 아전들을 모두 잡아들인 다음 매를 칠 준비를 했다.

유진항이 두려워하며 문 틈으로 엿봤더니, 놀랍게도 어사는 바로 옛날 동촌에서 술을 팔다 자신에게 걸렸던 선비였다.



유진항은 아랫 사람을 시켜서 어사를 알현하기를 청했다.

어사는 어이가 없어서 말했다.

[감히 탐관오리가 암행어사를 보겠다고? 정말 양심도 없구나!]



유진항은 막무가내로 들어가서 어사 앞에 절을 했으나, 어사는 얼굴도 보지 않고 정색을 한 채 앉아 있을 뿐이었다.

유진항이 물었다.

[어사께서는 저를 모르시겠습니까?]



어사는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가 혼잣말을 했다.

[내가 그대를 어찌 알겠는가?]

유진항이 말했다.



[혹시 어사의 집이 옛날에 동촌에 있지 않았습니까?]

어사가 놀라서 말했다.

[어찌하여 그것을 알며, 또 어찌하여 그런 것을 묻는 것이오?]



유진항이 말했다.

[임오년에 임금님이 내리셨던 금주령을 어겨서 당신을 찾아갔던 선전관을 기억하십니까?]

어사가 더욱 놀라서 궁금해하며 말했다.



[그 일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유진항이 말했다.

[제가 바로 그 선전관입니다.]



어사는 급히 일어나 유진항의 손을 잡고 눈물을 비오듯 흘리며 말했다.

[은인이 여기 계셨군요. 지금 여기서 우리가 만난 것은 하늘이 이어준 것 아니겠습니까!]

말을 마친 뒤 어사는 죄인들을 모두 석방하고, 밤이 새도록 풍악을 울리며 유진항과 회포를 풀었다.



어사는 그 곳에서 며칠 동안 머문 뒤 서울로 돌아가 보고서를 올렸는데, 유진항을 칭찬하는 내용이 가득이었다.

임금님께서는 그 보고서를 보고 흡족해 하시어 유진항을 특별히 평안도 삭주부사로 임명하셨다.

그 후 어사는 대신의 지위까지 올라갔는데, 가는 곳마다 유진항과의 일화를 이야기했다.



그리하여 조정에는 유진항과 어사의 의리에 대한 칭송이 가득했다.

유진항은 이후 삼도수군통제사까지 역임했다.

어사는 소론의 대신인데, 내가 그 이름을 잊어버려서 여기에는 적지 못했다.




원문 및 번역본 :  http://koreandb.nate.com/life/yadam/detail?sn=4 



* 이 이야기는 네이버 카페 The Epitaph ; 괴담의 중심(http://cafe.naver.com/theepitaph)에도 연재됩니다.
* 글을 읽으신 후 하단의 손가락 버튼 한 번씩 클릭 해주시면 번역자에게 큰 응원이 됩니다 :)   
320x100
320x100


부제학 이병태가 임금님의 명을 받아 경기도 동쪽과 강원도를 암행어사로서 순찰하게 되었다.

강원도 홍천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읍내와 거리가 10리 정도 떨어진 곳이었다.

홍천은 순찰 구역이 아니었기에 이병태는 그냥 지나가려 하였다.



그리하여 한 마을 앞에 도착했는데, 몹시 배가 고파 어느 집 문 앞에서 밥을 구걸했다.

그러자 한 여자가 나왔다.

[남자가 없는 집이라 무척 가난합니다. 집에 시어머니가 계시는데도 아침 저녁을 굶고 있는데 나그네에게 줄 밥이 있겠습니까?]



이병태가 물었다.

[남편은 어디에 갔습니까?]

여자가 말했다.



[알아서 어디 쓰시려고 하십니까? 우리 남편은 바로 이 읍의 이방인데, 요망한 기생에게 홀려 어머니를 박대하고 아내를 쫓아냈습니다.]

여자가 이렇게 말하며 끊임 없이 원망의 말을 쏟아내자 방 안에 있던 노파가 말했다.

[며늘아, 무슨 이유로 쓸데 없는 말을 해서 남편의 흉을 보느냐? 그런 말까지 할 필요는 없지 않니?]



이병태가 그 모습을 보며 몹시 마음이 아팠다.

그래서 그는 읍내로 들어가 이방을 찾아갔다.

마침 시간이 낮 12시였다.



이방의 집에 들어서니 이방이 마루 위에 앉아 점심밥을 먹고 있었고, 그 옆에는 기생이 마주 앉아 밥을 먹고 있었다.

이병태는 마룻가에 턱 걸터 앉으며 말했다.

[나는 서울에서 온 과객이오. 우연히 이 곳까지 오게 되었는데 밥 한그릇 얻어 요기라도 때울 수 있게 해주시오.]



그 당시는 전국에 흉년이 들어 조정에서 쌀을 나누어 주어야 할 정도로 힘든 시절이었다.

이방은 한참 동안 이병태를 아래 위로 훑어 보더니, 종을 불러 시켰다.

[조금 전에 새끼 낳은 개에게 주려고 쑤었던 죽이 남아 있느냐?]



[있습니다.]

이방이 말했다.

[이 거지놈에게 그 죽이나 한 그릇 주어라.]



조금 있자 종이 술지게미와 쌀겨를 넣어 끓인 죽 한 그릇을 가져와 이병태의 앞에 던졌다.

이병태가 분노하여 외쳤다.

[그대가 비록 넉넉하게 살고 있다한들 한낱 이방일 뿐이고, 내 비록 구걸하고 있다한들 양반이다. 양반인 내가 밥을 구걸하면 그대는 먹던 밥이 아니라 새로운 밥을 지어 내놓거나 먹던 밥을 덜어서라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짐승들이 먹고 난 찌꺼기를 사람에게 주다니 이 무슨 행패냐!]



이방은 눈을 동그랗게 뜨고 이병태를 바라보다 욕을 했다.

[네놈이 양반이면 어찌하여 사랑방에 있지 않고 이따위로 돌아다니느냐? 지금은 흉년이 심하여 이 죽도 사람들이 먹지 못해 굶는데 네놈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감히 그따위로 말을 하느냐!]

이방은 죽사발을 들어 이병태를 때렸다.



이병태의 이마에서 상처가 나 피가 흐르고, 온 몸에 죽이 끼얹어졌다.

이병태는 분통함을 참고 그 집에서 나와 그대로 암행어사 출두를 외쳤다.

마침 그 읍의 사또가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어야 할 곡식을 횡령하여 서울로 보낸 것이 발각되었다.



이로 인해 사또는 봉고파직당하고, 이방과 기생은 곤장으로 때려 죽였다.

한 여자의 원망이 한 읍을 뒤흔들어 놓았으니, 옛 말에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 는 것은 바로 이런 일을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원문 및 번역문 : http://koreandb.nate.com/life/yadam/detail?sn=8


 
* 이 이야기는 네이버 카페 The Epitaph ; 괴담의 중심(http://cafe.naver.com/theepitaph)에도 연재됩니다.
* 글을 읽으신 후 하단의 손가락 버튼 한 번씩 클릭 해주시면 번역자에게 큰 응원이 됩니다 :)  
320x100